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27

[노션 사용법] 노션 롤업 속성으로 데이터 베이스 열 합계 구하기 노션에서 가장 유용한 기능은 역시 데이터베이스이다. 객체 별로 속성을 부여하고 각종 계산 형식에 구애 받지 않는 장점이 있는데, 엑셀 처럼 열간 (객체 페이지간의) 특정 속성의 단순한 합계 평균 과 같은 계산값을 사용하기가 애매하다 이글에서는 롤업 속성을 통해 노션 데이터 베이스가 가진 숫자 속성을 계산하여 속성에 반영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네이버 프리미엄 에서 노션 사용법을 더 익혀보세요 천라의 노션 가이드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노션 가이드contents.premium.naver.com 노션 열 숫자 속성 계산하기먼저 예제로 만들어둔 노션 페이지이다. 노션 데이터 베이스 숫자 속성 계산하기 | NotionBuilt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 2024. 3. 18.
[노션 사용법] 노션 empty() 수식 함수 사용법 (속성 값 있을때만 나오게 하기) 노션 수식 함수 중에는 empty()라는 함수가 있다. 요 함수를 이용해서 노션 수식 속성에서 특정 속성값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나오게 할 수 있다. empty() 노션 수식 함수 이해하기받은 인자값이 비었는 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함수인데,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empty(prop("속성이름“)) #만약 속성이 비어있다면 true #만약 속성에 값이있다면 false 노션 empty() 수식 함수 활용하기사용하기에 따라 활용법이야 무궁무진하겠지만 당장 쓸만한 두가지 사례를 안내한다. 케이스 1. 누군가 채워야하는 필수 속성값에 값을 안넣었을 경우예를 들어 아래 처럼 empty() 노션 수식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보면 “필수 항목입니다”라는 노션 속성이 비어있으면 “필수항목 안 넣었다면.. 2024. 3. 15.
[노션 사용법] 노션 목차 블록 사용법 (페이지 내 링크 이동) 노션에서 목차 블록을 사용하면 노션 페이지 내에서 링크 버튼을 통해 페이지내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노션 목차 설정법은 아래와 같다. 노션 목차 블록 사용법 우선 노션 페이지에 목차 블록을 추가한다/목차비어있는 페이지라면 아래처럼 나오는데,여기서 노션의 목차 블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단히 설명하면 노션 목차 블록은 노션 페이지 내의 제목1 제목2 제목3 블록으로 작성된 블록을 포집해서 들여쓰기 형태로 링크를 만들어 준다. 제목1 블록 H1 제목2 블록 H2 제목3 블록 H3여튼 그러면 이제 페이지 내에다가 제목 1 제목 2 제목 3 블록으로 내용을 추가해보자. 각 블록은 아래처럼 입력하면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대강 작성해본 블록들이다.그러면 목차 블록에서는 아래처럼 나온다각 목차의 링크를 누르면 해.. 2024. 3. 15.
[노션사용법] 보드보기 좌우 상하 레이아웃 바꾸기 (하위그룹화 혹은 리스트 보기로 상하 레이아웃으로) 노션 보드 보기는 좌우로 레이아웃되며 설정한 속성값에 따라 그룹화를 해준다. 각 페이지가 일종의 아이콘이 되며 드래그앤 드랍으로 옮길 수 있는데, 구분 속성이 너무 좌우 레이아웃이 길어져 속성 값이 많다보면 헷갈릴 수 있다 이럴때 상하 레이아웃으로 바꾸는 몇가지 팁이 있어 공유한다 노션 보드보기 상하 레이아웃으로 바꾸기노션 보드 보기 예제 데이터베이스이다. 태그 속성이 많아 좌우 레이아웃이 너무 길게 표기된다. 이럴땐 차라리 상하 레이아웃이 편한데, 더미 선택 속성을 하나 추가하여 상하레이아웃으로 바꿀 수 있다. 먼저 속성을 하나추가하자 선택 속성으로 넣고 아무 옵션이나 하나 넣자 그 후에 노션 보드보기 설정을 들어간다. 그리고 그룹화 기준을 방금 만든 속성으로 바꾼다 그리고 다시 노션 보드보기 설정에 .. 2024. 3. 15.
반응형